타임라인
English Korean
서울대와 노동자들과 비서공이 걸어온 길 |
![]() |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선언
2017년 05월 12일 |
대통령 문재인은 제1호 국정업무지시로서 “임기 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시대 열겠다”고 선언했다.
|
용역・파견노동자 무기계약직 전환
2018년 02월 06일 |
서울대 본부는 비정규직 제로 시책을 선제적으로 완수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그 실상은 굉장히 부실한 것이었다.
“당장 내일 해고당할 걱정 안 해도 되는 거 하나, 그거 말고는 보장받은 게 아무것도 없어요.” “임금, 복지 차별은 그대로예요. 똑같은 일을 해도 원래 우리는 ‘비정규직 출신’이니까 임금체계가 달라야 하는 거래요.” “아직도 기간제 직원 많아요.” “이게 진짜 정규직화 맞아요?” (4월 12일자 카드뉴스) |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 결성
2018년 03월 15일 |
노동조건과 처우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반쪽짜리 정규직화’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 연대투쟁기구로서 비서공이 발족했다.
비정규직 노동자와 연대하는 학생들의 움직임은, 차별과 경쟁의 시대에 반기를 드는 움직임입니다. 학교 운영에 필수적인 노동을 수행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 없이 지금의 서울대는 없었을 것입니다. 학생과 비정규직 노동자가 손잡고 대학을 바꿔야 합니다. 대학이라는 공간은, 대한민국의 수많은 문제를 그대로 담고 있는 곳입니다. 대학은 교육과 노동이 이루어지고, 학생과 노동자가 매일을 살아가는 공간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공간을 외면할 수 없습니다. |
제27대 총장 오세정 취임
2019년 02월 08일 〜2023년 01월 31일 |
폭력적인 학생탄압으로 악업을 쌓은 성낙인 총장이 퇴임하고 오세정 총장이 취임했으나 학내 노동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재임기간은 거듭되는 노동쟁의와 산재사망사고로 얼룩졌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며 일터에서 쫓겨날지 모른다는 걱정으로부터 조금이나마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차별적인 처우와 열악한 저임금 등은 제대로 개선되지 않았고, 때로는 악화되기도 했다. 오세정 총장은 반쪽짜리에 불과했던 성낙인표 ‘정규직화 합의’의 한계를 극복할 과제를 떠맡게 됐던 셈이다(『서울대저널』 기고문). |
기계・전기 노동자 파업투쟁
|
임금과 처우가 계속 최저임금에 머무르고 있음에 항의하여 기전분회 노동자들이 파워플랜트를 점거하고 도서관에 난방을 끊었다.
11번의 교섭과 2번의 조정을 거쳐 수없이 양보한 협상안을 제안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의 요구가 묵살되었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최후의 법적 수단인 파업까지 동원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불편함이 당장의 파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학교 측이 노동조합과의 협상에 제대로 임하지 않고 지방노동위원회의 중재안마저 걷어찼다는 사실이 놓여있습니다. 이러한 일방적이고 고압적인 태도로 인해 노동자들이 결국 파업까지 내몰리게 되었다면, 그 불편함의 책임을 노동조합의 파업이 아니라 해결의지가 없는 서울대 본부에게 물어야 합니다. |
언어교육원 한국어 교원 투쟁
|
무기계약직 전환에서 제외되었던 언교원 한국어교원들이 반년에 가까운 투쟁 끝에 무기계약직 전환을 쟁취했다.
서울대학교 측 입장은 이렇습니다. “언어교육원 강사들은 시간강사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다. 시간강사는 강사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언어교육원 강사들은 본질적으로 학교에서 일하는 전일제 노동자이지만, 이들을 ‘시간강사’라고 우기는 학교의 꼼수 때문에 기본적인 노동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 언어교육원 강사들이 시간강사의 지위를 인정받았다고 볼 수는 있을까요? 그것도 아닙니다. 언어교육원 강사들이 받는 시간당 임금은 학부 시간강사의 절반 수준이기 때문이지요. |
서울대병원 정규직 전환 투쟁
2019년 06월 26일 〜2019년 09월 03일 |
국립대병원 파견용역직 공동파업으로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이 직고용 무기계약직 전환을 쟁취했다.
국립대병원은 비정규직은 정부가 2017년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의 1단계 정규직 전환 대상자들이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들의 정규직 전환율은 사실상 0%입니다. 2018년까지 전환을 완료하라는 정부의 지침이 있었지만 국립대병원은 용역업체와의 계약을 계속 연장하며 정규직 전환을 뒤로 미루고 있고, 서울대병원은 실질적인 고용조건 개선이 없는 자회사 전환을 답변으로 내놓았습니다. |
302동 제2공학관 청소노동자 사망사건
2019년 08월 09일 |
에어컨도 창문도 없는 계단 밑 휴게실에서 60대 청소노동자가 숨졌다.
고인께서 돌아가신 날, 서울의 낮 기온은 35도였습니다. 그렇게 더운 날, 8068평에 달하는 건물을 매일 새벽에 출근해 쓸고 닦던 노동자에게 내어진 공간은 고작 한 평 남짓한 간이 공간뿐이었습니다. 누구도 그런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가장 큰 규모의 재원을 운용하며, 최첨단 시설을 갖춘 대학에서 그런 죽음이 발생했다는 것은 무언가가 심각하게 잘못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공간이 고장났다는 이야기입니다. |
제1차 생활협동조합 파업투쟁
|
중노동과 저임금에 오랫동안 시달려온 학생식당・느티나무카페 노동자들이 30년만에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열 평도 안 되는 휴게실에서 여덟 명이 근무복을 입고 쉬고 계신 모습, 샤워실이 부족해서 샤워커튼을 간이커튼을 달아서 씻어야 된다는 그 말씀을 듣고, 저는 정말로 형언할 수가 없는 어떤 감정을 느꼈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들도 이렇게 가깝게 있는 많은 분들이, 같은 심정을 느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디 근무환경 뿐이겠습니까? 저는 저의 어머니와 같은 분들, 아버지와 같은 분들이 200만원도 안 되는 기본급을 받아가면서 이렇게 고된 노동을 하신다는 생각을 하면, 정말 가슴이 미어지는 그런 심정이었습니다. 많은 학생들도 같은 심정을 느꼈고, 그래서 저는 여러분이 파업에 들어가셨을 때, 모든 학생들이 단결되어 이 파업 꼭 승리해야겠다는 마음으로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고 생각을 합니다. |
청소경비・기계전기 노동자 투쟁
|
학교측이 민주노총 가맹 노동조합을 탄압하자 노동자들이 단식투쟁・삭발투쟁・파업투쟁으로 맞서 싸웠다.
서울대 본부는 작년에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만든 노동조합을 교섭대상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습니다. 올해는 더한 짓을 벌이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이 민주적으로 노조를 결성하고 자유롭게 노조활동을 할 권리를 억압하고 있습니다. 학교는 노조전임자의 임금 지불을 중단하였습니다. 교섭에서는 근무시간 중 부업활동 금지, 노조 간부 회의시간 단축과 같은 안을 제시했습니다. 간부 회의시간과 조합원 교육시간은 용역업체 시절에도 유급으로 보장받던 것입니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오히려 학교에 직고용된 후 노조활동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925동 학부생활관 청소노동자 사망사건
2021년 06월 26일 |
고강도 노동과 직장내 괴롭힘에 시달린 50대 청소노동자가 숨졌다.
고인의 죽음 뒤에 지나친 노동강도 및 직장 내 괴롭힘과 갑질이 있었음이 드러났습니다. 고인이 청소해야 했던 기숙사 925동은 엘리베이터가 없어 무거운 100L 쓰레기봉투를 계단을 통해 옮겨야 합니다. 아울러 넓은 건물 전체를 한 사람이 홀로 청소해야 하기에 노동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학생들이 기숙사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고 배달음식이 늘어나면서 쓰레기가 증가하여 노동강도는 더욱 격화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인간다운 노동환경을 위한 노동자들의 인력충원 요구는 번번이 무시되었습니다. |
제2차 생활협동조합 파업투쟁
|
2년 전의 파업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노동자들은 거의 같은 요구사항으로 다시 파업에 나섰다.
현재 생활협동조합의 식당 노동자들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할 때 140여 명에서 80여 명으로 60명 이상이나 감축되었습니다. 생협 사무처는 비대면 수업으로 식당 이용자 수가 줄어들었기에 노동강도가 개선된다며 인력감축을 합리화하지만, 식수가 줄어들어도 식사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 노동이 그에 비례하며 줄어드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인력감축 속에서 계약직 노동자들은 불안정한 고용형태로 인해 계약만료라는 이름으로 해고당했고, 무기계약직 노동자들은 줄어드는 인력으로 인해 높아지는 노동강도를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퇴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력이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남은 노동자들의 어려움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은 계속됩니다. |
反SPC 투쟁 연대
2022년 05월 29일 〜2022년 12월 |
서울대학교와 유착한 살인기업 SPC를 규탄하기 위해 비서공은 학교 안팎에서 ‘파리바게뜨노동자힘내라공동행동’과 연대했다.
SPC 그룹은 ‘사회공헌’이란 이름으로 그동안 많은 노동자의 고통을 가려왔던 것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SPC 그룹은 ‘사회공헌’을 확대한다며 농생대에 ‘SPC 농생명과학연구동’을 개관하고 허영인 그룹 회장의 이름을 딴 ‘허영인 세미나실’까지 설치했습니다. “서울대와 SPC가 창의적인 연구를 통해 원대한 비전을 함께하는 시발점”이라며 “식품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에서 더 나아가 사회와 인류에 공헌하는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 나가겠다”라고 발언한 허영인 회장은 서울대학교 발전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10월 20일 대자보). |
서울대병원 및 보라매병원 파업투쟁
|
서울대병원과 보라매병원 노동자들이 인력확충과 의료공공성 강화를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동안 사회는 공공의료와 필수노동자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우쳤습니다. 그러나 서울대병원은 그렇지 않았나 봅니다. 코로나19 이후에도 감염병에 대한 종합대책은 마련되지 않았고, 서울대병원은 의료공공성보다 영리자회사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듯 보입니다.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은 팬데믹 시기 동안 사회에 꼭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헌신해왔으나, 사측은 오히려 인력을 감축하고 유급휴일을 축소하겠다고 말합니다. 장시간 고강도 노동으로 감염병 사태에 대응해온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응원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인력충원과 처우 개선임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로 인해 신종 감염병이 더욱 빈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금, 의료공공성과 필수노동자 인력충원은 노동자들만의 요구가 아니라, 건강과 안전을 보장받아야 할 사회구성원 모두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
The path of SNU, its workers, and Biseogong walked through |
![]() |
Declaration of “permanentizing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May 12, 2017 |
As his first state affairs order, President Moon Jae-in declared, “We will open the era of zero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within my term.”
|
Conversion of subcontracted workers into directly contracted unlimited-term workers
February 6th, 2018 |
SNU Administration HQ praised itself for preemptively implemented zero non-regular workers policy. However, the reality was very insufficient.
“Now we don't have to worry about getting fired at any time. Other than that, nothing has been guaranteed.” “Discrimination in wages and welfare remains the same. Even if we do the same thing, they say that the wage system should be different because we ‘used to be non-regular’.” “We still have a lot of limited-term employees.” “Is this really a permanent employment in proper?” (Cardnews, April 12) |
Affinity Group for the Abolition of Precarious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iseogong) was formed.
March 15, 2018 |
Biseogong was launched as an organization for solidarity struggle unde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half-hearted permanentizing”, in which no improvement was made in working conditions and workers' treatment.
The action of students in solidarity with precarious non-regular workers is a defiance against this era of discrimination and competition. SNU could not be without the non-regular workers who perform the labor necessary for campus operation. Students and workers should join hands to change the campus. A campus is a space containing numerous problems of South Korea. It is a space where education and labor take place, and students and workers live every day. Thus, we cannot turn a blind eye to this space. |
The 27th President Oh Se-jung's office term
February 08, 2019 〜January 31, 2023 |
Sung Nak-in, the 26th president who made his bad karma for brutal student oppression, retired and Oh Se-jung took office. But labor issues on the campus were not resolved. Rather, his term was marred by repeated labor disputes and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With the transition to unlimited contract, workers had been freed from anxiety about being forced out of their workplaces. However, discriminatory treatment and low wages have not improved properly, and sometimes they have worsened. President Oh Se-jung was assigned the task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agreement for permanent employment’ by former President Sung, which was only a half-hearted one (Contribution to SNU Journal). |
Strike by mechanicians and electricians
|
Mechanicians and electricians occupied the powerplant and cut off the heating of the central library in protest of the continued minimum wages.
The workers had presented proposal, which had been made numerous concessions after eleven negotiations and two arbitrations. But their demand was ignored, which led them to call a strike, the last legal measure. The visible inconvenience seems to be caused by the immediate strike, but behind it is the fact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HQ did not engage properly in negotiations with labor union and even throwed out the arbitration proposal from the loc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As this unilateral and domineering attitude eventually pushed workers to strike, we should hold SNU HQ responsible for our inconvenience, not the unionists on strike. |
Labor disput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t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
Korean language teachers at LEI, who were excluded from the conversion into unlimited contract, won the conversion after a nearly half-year struggle.
SNU HQ's stance is that: “the teachers at LEI have the same status as part-time instructors. Part-time instructors are not eligible for conversion into unlimited contract, because they are subject to Instructor Act, not Labor Law.” LEI teachers are essentially full-time workers who work on campus, but they are not guaranteed basic labor rights because of the university's artifice to call them “part-time instructors”. If that's the case, are LEI teachers guaranteed their postion as part-time instructors? That's not true either. The hourly wage paid for LEI teachers is half that of part-time instructors doing undergraduate lectures. |
Struggle for conversion at SNU Hospital
June 26, 2019 〜September 3, 2019 |
By the allied strike of dispatched worke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workers at SNU Hospital won the conversion into unlimited contract.
Non-regular worke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re eligible for the first phase of the government's 2017 ‘Guideline for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into Permanent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But two years later, their conversion is still virtually 0%. Although there were government guideline to complete the conversion by 2018,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continue to extend their subcontract with the service suppliers, delaying the conversion of forms of employment. SNU Hospital proposed the conversion via establishment of subsidiary, which has no real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
Death of a cleaning janitor at Building #302 (the 2nd Engineering Hall)
August 9, 2019 |
A cleaning janitor in his 60s passed away in a breakroom, located in a spandrel under the stairs, without air conditioning nor windows.
On the day he had departed, the daytime temperature in Seoul was 35 degrees Celsius. On such a hot day, the only space left to a worker who had come to work every morning to sweep and clean a 8068 py (26671 ㎡) building was a makeshift structure of about 1 py. No one should ever be treated like that. Such a death at a university, with the most support, the largest financial resources, and the most cutting edge facilities in this country, means that something is seriously wrong. It means that this space is broken down. |
The first SNUCO strike
|
Workers of SNUCO, the SNU Consumer Cooperative, where operates on-campus cafeterias and Zelkova Café, who have long suffered from heavy labor and low wages, have gone on a full strike for the first time in 30 years.
When I heard that eight workers resting in their work clothes in a breakroom which is less than 10 py (33 ㎡), and that they have to wash only with shower curtains due to a lack of shower rooms, I felt something I really can never describe. I'm sure many of you, not only me, but also many students, felt the same way. Not only workplace environments! When I think about people like my mother and father toiling so hard for a basic salary of less than 2 million wons (about 1,500 dollars), I really felt heartbroken. I believe many students felt the same way, thus they gave their full support that the union must win this strike. |
Protest from the cleaning and security janitors, mechanicians and electricians.
|
Because SNU HQ persecuted the labor union affiliated with KCTU (Democratic Unions), workers fought back with hunger strike, hair shaving, and sit-in.
Last year, SNU Administration HQ refused to recognize labor union created by non-regular workers as negotiation partner. This year, they are doing more. They are suppressing workers' right to organize labor union democratically and engage in union activities freely. The HQ stopped paying wages for shop stewards. In negotiation, they proposed prohibiting side jobs during working hours and shortening the meeting hours of union stewards. Stewards' meeting hours and education sessions for union members were secure paid, even when they were subcontracted via service providers. However, workers are having more difficulty unionizing after being directly employed by SNU. |
Death of a cleaning janitor at Building #925 (one of the undergraduate dormitories)
June 26, 2021 |
A cleaning janitor in her 50s, who suffered from high-intensity toils and workplace harassment, had passed away.
After her death,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excessive labor intensity and workplace harassment. The building #925 dormitory that the deceased had to clean has no elevator. So she had to carry garbage bags, 100 ℓ of each, through the stairs. In addition, the labor intensity is too high because only one person has to clean the entire building alone.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time students stay in dormitories has increased thus the number of delivery foods has increased, which has intensified labor intensity. Nevertheless, demands for manpower supplement by workers, for a humane working condition, have been ignored repeatedly. |
The second SNUCO strike
|
Despite the strike two years ago, the fundamental problem was not solved at all, and workers went on strike again with requirements much the same as two years ago.
Currently, the number of cafeteria workers in SNUCO has been reduced by 60, from 140 to 80, compared to before COVID-19. The cooperative's administration bureau is justifying the personnel reduction, saying that the number of cafeteria customers has decreased due to the online-lecture-only situation. But even if the number of mouth decreased, the basic labor required to prepare meals will never decrease proportionally. Amid the workforce reduction, limited contract workers were fired under the name of contract expiration, due to their unstable employment form, and unlimited contract workers were forced to choose to resign themselves without enduring the rising labor intensity. The vicious cycle continues: as the number of workers decreases, the difficulty of the remaining workers becomes even worse. |
Solidarity with boycott against SPC
May 29, 2022 〜December 2022 |
In order to condemn SPC, a manslaughtering conglomerate colluding with SNU, Biseogong stood in solidarity with the “Joint Action for Paris-Baguette Workers to Cheer up”, both on and off the campus.
SPC Group has concealed the pain of countless workers under the guise of ‘social contribution’. SPC built the ‘SPC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 Research Building’ at College of Agriculture, SNU to expand their ‘social contribution’, and even set up the 'Heo Yeong-in Seminar Hall’ named after the group's chairman. This building “is the starting point for SNU and SPC to share a grand vision through creative research,” said Chairman Heo, “I will do my best to fulfill my social responsibilities as a company contributing to society and humanity, going beyond being a company that leads Korean food culture.” He was also selected 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SNU Awards for Contribution (Wall newspaper, 20 October). |
Strikes at SNU Hospital and Boramae Medical Center
|
Workers at SNU Hospital and Boramae Medical Center went on strike, demanding manpower supplement and reinforcing medical public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ur society has realized how important the role of public health and how essential its workers are. However, this may not have been the case for SNU Hospital. Even after COVID-19, no comprehensive measures have been prepared for infectious diseases, and SNU Hospital seems to be paying more attention to its for-profit subsidiaries than to medical publicity. Workers at SNU Hospital have devoted themselves to playing an essential social role during the pandemic, but the hospital managements says they will reduce manpower paid holidays. We all know that what is needed for workers, who have fought the diseases by long hours of high-intensity labor, is not hollow compliment, but practical manpower supplement and improvement of their treatment. Now that new infectious disease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due to the climate crisis, medical publicity and essential workers' recruitment are not just a demand for workers, but also a matter for all members of our society who should be guaranteed health and safe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