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가을학기 동아리소개제 부스운영


전시물




퀴즈


서울대 생활협동조합(생협)에 관하여 틀린 것은?
  1. 출자한 조합원들을 대상으로만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서울대에 해마다 4억 7천만원 정도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어서 재정적자가 심화되고 있다
  3. 학교는 생협이 별도법인이라는 이유로 생협의 적자 및 구인난 문제에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4. 비서공은 근본적인 노동조건 문제 해결을 위한 생협의 직영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오고 있다
  5. 풀이답 ①. 서울대생협의 서비스는 조합원 여부와 무관하게 서울대 구성원 전체에게 제공됨

현재 서울대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셔틀버스 노선은?
  1. 순환
  2. 역순환
  3. 설입
  4. 녹두
  5. 시흥
  6. 풀이답 ①. 하지만 2015년 이전에는 전부 직영이었다.

생협 식당에서 현재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것은?
  1. 세척에 쓰이는 화학약품이 호흡기로 들어갈 위험이 있음
  2. 근골격계 질환
  3. 넘어짐, 부딪힘, 화상, 날붙이 베임 위험
  4. 노동 강도가 높아 지원자가 없고 지원자가 금방 나감
  5. 위험수당 없음
  6. 풀이답 ⑤. 위험수당은 2021년의 파업으로 신설됨. - 2019년과 2021년 이루어진 두 차례의 파업은 위험수당이 신설되고 임금이 인상되는(7만 6 천) 등 소기의 성과가 있었지만, 근본적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없음.

비서공이 참여한 연대 활동
  1.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유가족 영정행진 및 추모 문화제 결합
  2.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 결합
  3. 서울대 퀴어문화제, 서울퀴어문화축제
  4. 기후정의행진
  5. 전국노동자대회, 방영환 열사 추모문화제
  6. 1~5 모두
  7. 풀이답 ⑥. 전부 참여하였음.

관정도서관에는 청소노동자 휴게실이 어디 있을까요?
  1. 2층
  2. 5층
  3. 6층
  4. 7층
  5. 없다
  6. 풀이답 ⑤. 관정에는 없어서 중도까지 가야함, 중도 휴게실은 중도터널 게시판 뒤에 있어서 사실상 지하, 채광 환기 어렵다.

서울대학교 법인직원 / 자체직원은 각각 몇%일까?
풀이답 40%/60%. 법인직원이 아니면 모두 자체직원. 대학원생 전문연구요원도 행정상으로는 자체직원으로 처리됨. 다만 일반적으로 자체직원이라고 하면 본부나 단과대, 과 사무실 등에 고용된 행정사무 직을 가리킴. 총장발령이지만 법인직원이 아닌 총장발령 자체직원 노동자들도 있음. 서울대 전체직원의 60%가 단과대 자체직원이며, 그 중 40%만이 총장의 직접고용, 나머지 20%는 기관장이 고용하고 있는 고용구조임.


언어교육원 한국어 강사들을 무기계약직 대상에서 제외시킨 본부에 대해 강사들은 반년간 투쟁하여 무기계약직 전환을 쟁취하였다.
○/×답 ⭕

생협 노동자들이 두 차례 전면파업투쟁을 진행했음에도 중노동 저임금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풀이답: 대학본부와 별도법인 생협의 이원화


셔틀버스 노동자들의 고용불안 해소, 쉬는 시간 보장과 배차간격 준수, 셔틀버스 비용 감소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일까요?
풀이답: 셔틀버스 직영화


야외에서 낙엽을 치우거나 제초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이 겪는 문제는 무엇일까요?
풀이답: 혹한기/혹서기 위험, 무거운 송풍기를 등에 지는 중노동


비학생조교와 연건동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은 무기계약직/정규직으로 전환된 후에도 근속연수/임금 등 처우 차별의 문제를 겪고 있다.
○/×답 ⭕


62동 중앙도서관 청소노동자 휴게실을 비롯하여 여러 학교 건물을 관리하시는 청소노동자 및 경비원분들의 휴게실은 어떤 미흡한 점들이 있을까요?
풀이답: 채광, 환기 (습하다, 빨래 널어놓으면 안마른다), 장애인화장실을 샤워실로 활용한다, 휴게실이 주차장에 있다 등…….


청소노동자 사망사건이 발생한 건물동이 어디인지 아실까요?
풀이답: 302동 (2019년 8월), 925동 (2021년 6월)


체험활동